문의전화
010-4644-6443

NEWS

보드윤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네이멍구 묘역에 서린 애국정신강제이주 조선인 광복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8-15 03:15

본문

동두천치과 네이멍구 묘역에 서린 애국정신강제이주 조선인 광복군 이끌어대원들 숙식 돕고 모병 활동 벌여광복 후 가난한 환자에 무상 진료영면 40년 만인 2007년 건국훈장 지난 5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수부(首府·자치구정부 소재지) 후허하오터시 외곽 기독교 묘원에는 ‘네이멍구의 슈바이처’라 불렸던 이가 잠들어 있다. 묘비와 함께 서 있는 공덕비는 비문의 띄어쓰기가 맞지 않고 오타도 군데군데 보였지만, 2008년 한국 독립기념관 의뢰로 세운 것이라 의미는 특별하다. 주인공은 의사로, 독립운동가로 살다간 이자해(본명 이동필, 1894∼1967·사진) 선생. 우리가 기억해야 할 또 다른 이름이다. 1894년 평안북도 자성군에서 태어난 선생은 일본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의사 자격을 얻었다. 귀국 후 중강진 공립병원에서 근무하던 중 교회 장로와 학생들을 규합해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일본 경찰의 감시가 심해지자 중국 랴오닝성 류허현으로 이주해 대한독립단에 합류했다. 대한독립단의 후신인 대한독립단총단에서는 의무부장을 맡아 신입 단원의 신체검사와 치료를 담당했다.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후허하오터시 기독교 묘원에 있는 이자해 선생 부부 묘소. 1920년 광복군사령부가 출범하자 군의처 처장과 기요비서(機要秘書·기밀을 다루는 비서)를 겸임했고, 같은 해 일본군이 만주를 침략해 거주하던 한국인을 대량학살한 경신참변 당시 다리에 총상을 입었다. 1923년 베이징 하이뎬으로 이주해서는 도산 안창호 선생이 ‘한인 이상촌’으로 지목한 해전농장 경영에 참여했다고 한다. 네이멍구로 이동한 것은 1937년 일본이 루거우차오(盧溝橋·노구교)사변을 일으키며 베이징으로 진입한 데 따른 것이었다. 네이멍구에서 중국 국민당군 야전병원장으로 일하면서 임시정부와 연락을 이어가던 선생은 1941년 광복군사령부 국무처장으로 임명돼 일본이 ‘개척단’ 명목으로 강제이주시킨 조선인들을 광복군 쪽으로 이끌었다. 모병을 위해 파견된 광복군 대원들에게 숙식을 제공했고, 1944년 8월에는 김구 주석의 공작지령을 받고 ‘광복군 초모처’ 간판을 내걸고 초모(招募·모병)활동을 벌였다. 중국인 아내와 가정을 이룬 그는 광복 후 김구 선생의 권유에도 귀국하지 못했다. “김구 선생이 인편으로 ‘나와 함께 조국으로 돌아가 조국건설을 위해 노력하자’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지금 생각하면 마땅히 적극적으로 돌아가야 했네이멍구 묘역에 서린 애국정신강제이주 조선인 광복군 이끌어대원들 숙식 돕고 모병 활동 벌여광복 후 가난한 환자에 무상 진료영면 40년 만인 2007년 건국훈장 지난 5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수부(首府·자치구정부 소재지) 후허하오터시 외곽 기독교 묘원에는 ‘네이멍구의 슈바이처’라 불렸던 이가 잠들어 있다. 묘비와 함께 서 있는 공덕비는 비문의 띄어쓰기가 맞지 않고 오타도 군데군데 보였지만, 2008년 한국 독립기념관 의뢰로 세운 것이라 의미는 특별하다. 주인공은 의사로, 독립운동가로 살다간 이자해(본명 이동필, 1894∼1967·사진) 선생. 우리가 기억해야 할 또 다른 이름이다. 1894년 평안북도 자성군에서 태어난 선생은 일본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의사 자격을 얻었다. 귀국 후 중강진 공립병원에서 근무하던 중 교회 장로와 학생들을 규합해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일본 경찰의 감시가 심해지자 중국 랴오닝성 류허현으로 이주해 대한독립단에 합류했다. 대한독립단의 후신인 대한독립단총단에서는 의무부장을 맡아 신입 단원의 신체검사와 치료를 담당했다.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후허하오터시 기독교 묘원에 있는 이자해 선생 부부 묘소. 1920년 광복군사령부가 출범하자 군의처 처장과 기요비서(機要秘書·기밀을 다루는 비서)를 겸임했고, 같은 해 일본군이 만주를 침략해 거주하던 한국인을 대량학살한 경신참변 당시 다리에 총상을 입었다. 1923년 베이징 하이뎬으로 이주해서는 도산 안창호 선생이 ‘한인 이상촌’으로 지목한 해전농장 경영에 참여했다고 한다. 네이멍구로 이동한 것은 1937년 일본이 루거우차오(盧溝橋·노구교)사변을 일으키며 베이징으로 진입한 데 따른 것이었다. 네이멍구에서 중국 국민당군 야전병원장으로 일하면서 임시정부와 연락을 이어가던 선생은 1941년 광복군사령부 국무처장으로 임명돼 일본이 ‘개척단’ 명목으로 강제이주시킨 조선인들을 광복군 쪽으로 이끌었다. 모병을 위해 파견된 광복군 대원들에게 숙식을 제공했고, 1944년 8월에는 김구 주석의 공작지령을 받고 ‘광복군 초모처’ 간판을 내걸고 초모(招募·모병)활동을 벌였다. 중국인 아내와 가정을 이룬 그는 광복 후 김구 선생의 권유에도 귀국하지 못했다. “김구 선생이 인편으로 ‘나와 함께 조국으로 돌아가 조국건설을 위해 노력하자’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지금 생각하면 마땅히 적극적으로 돌아가야 했지만 혁명에 대한 나의 인식이 동두천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